나의 이야기

리처드기어와 혜민스님 대담..

酒有所 2011. 9. 15. 16:29

 

 

리처드 기어가 찍은 사진 ‘염주를 쥐고 있는 손’

 ▶혜민=한국 방문은 처음인가.

 ▶기어=처음이다. 예전에 몽골에 갈 때 한국에서 비행기를 갈아탄 적은 있다.

 ▶혜민=당신은 서양에서 가장 유명한 불교 신자다. 한국에선 그걸 모르는 사람도 있다. 어떻게 불교에 관심을 갖게 됐고, 심취하게 됐나.

 ▶기어=그건 긴 이야기(Long story)다. 짧은 버전으로 설명하면 어릴 때부터 실존적인 것에 관심이 많았다. 저녁에 밤하늘을 볼 때, 하늘에서 떨어지는 별을 볼 때, 저 우주에 가득 찬 것을 생각하면서 물음도 많았다. 지금 돌아보면 우주에 대한 철학적인 생각이었다.

 ▶혜민=부모님이 기독교인이라고 들었다.

 ▶기어=맞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독실한 감리교인이었다. 두 분은 늘 내게 예수님의 사랑에 대해서 말했다. 모든 것을 안을 수 있는 사랑 말이다. 실제 두 분은 그런 사랑을 지향했고, 늘 열려 있고 포용적이었다. 나는 거기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래서 불교의 자비 사상과 잘 합해지는 부분이 있다.

 ▶혜민=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로 갈등을 빚는 경우도 많다.

 ▶기어=나는 달라이 라마를 스승으로 모시고 있다. 달라이 라마에 의하면 모든 종교는 훌륭하다. 그 종교가 사랑과 자비에 바탕을 두고 있다면 말이다. 게다가 불교는 눈을 가리고 무조건 믿는 식이 아니다. 끊임없이 의심(doubt)을 던져야 한다. 그런 의심, 그런 물음을 통해서 불교 수행이 이루어진다. 의심과 물음은 불교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다. 선(禪)불교에서 공안이나 화두를 타파하기 위해 의심을 내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래서 깊게, 더 깊게, 더 깊게 물음을 던지면서 가는 거다.

 ▶혜민=출가(出家)해 승려 될 생각 은 없 나.

 ▶기어=모든 사람이 언젠가는 승려가 되고 싶어할 것이다. 나는 모든 사람이 언젠가는 큰스승을 만나서 깨달음을 얻는 모습을 상상한다.

 리처드 기어는 “예스(Yes)”혹은 “노(No)”로 답하지 않았다. 그에게 출가의 의미는 머리 깎고 승복을 입는 것이 아니라 ‘깨달음’에 있는 듯했다.

 ▶혜민= 일상 속에서 어떤 수행을 하 나.

 ▶기어=티베트식 불교 수행을 하고 있다. ‘세상 모든 사람이 행복해지길 바랍니다’라며 보살의 원(願)을 세우고 수행한다.

 ▶혜민=불교에 대한 이해가 깊다.

 ▶기어=나는 아직도 학생이다. 초보자의 길을 걷는 학생일 뿐이다.

 ▶혜민=불교의 수행이 배우로서의 삶에, 당신의 연기에 도움이 되나.

 ▶기어=불교는 연기에만 도움이 되는 게 아니다. 내 삶 전체를 풍요롭게 한다. 불교 수행은 내게 미묘한 것을 느낄 수 있게 하고, 창조적인 삶을 가꿀 수 있게 한다. 어떤 아이디어가 나왔을 때도 그 아이디어가 더 자연스럽게 흐르게 한다.

 ▶혜민=다시 태어난다면 또 연기자가 되고 싶나.

 ▶기어=이 생에서 내가 맡은 역할이 연기자일 뿐이다. 우리의 삶 자체가 연기자의 삶이다. 당신은 삶에서 스님의 역할을 맡고 있고, 나는 삶에서 배우의 삶을 맡고 있을 뿐이다.

 이때 리처드 기어 주위에서 “빡빡한 일정 때문에 리처드 기어가 피곤해 보인다. 대담을 그만 마치자”는 말이 나왔다. 기어는 “지금 이 인터뷰는 피상적인 질문이 아니다. 정말 실질적인(Real) 내용이다. 실질적인 내용의 인터뷰는 아무리 오래 해도 피곤하지 않다”며 대담을 계속 진행하라고 말했다.

 ▶혜민=서울 예술의전당에서 당신이 찍은 사진 전시회 ‘순례자의 길’이 열리고 있다. 사진이 무척 아름답다. 눈에 보이는 것뿐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까지 생각하게 한다.

 ▶기어=고맙다. 겉으로 드러난 모습을 유심히 들여다 보라. 그럼 그 안에서 세밀한 사랑,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으로 연결되고 싶어하는 마음, 어린 아이 같은 마음이 다 들어 있다. 아주 나쁜 사람에게도 그런 마음은 다 있다. 그걸 이미지로 찍고 싶었다

 

--------------------------------------------------------------------------------------------------------------

 

2011년 6월 23일자 중앙일보 백성호 기자의 기사입니다.

 

연휴에 우연히 btn 불교방송 혜민스님과 리처드기어의 대담을 보게 되었는데,..

(끝 부분 조금 밖에 보지 못했습니다.)

 

제가 본 분량은 몇 분 안되는 분량이었습니다만 리처드 기어의 불교 신자로서의 신실성은 만만치 않은것 같습니다.

 

역시나 30년 가까이 한시간 이상 선불교 명상을 한 사람답기도 하고요.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종교 (불교,이슬람교,크리스트교,..)는 없는것 보다 있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믿는 사람들이 얼마나 신실성을 갖고 대하느냐에 따라 그 종교가 욕 얻어 먹기도 하고 사람들의 신뢰대상이 되기도 한다고..

 

(물론, 의지박약한 인간이 신에게 의지하여 삶을 구원한다는 못난 사람으로 치부하는 경우도 많이 있지만요)